selenium으로 corona19 dashboard 만들기(1)
저는 가상환경으로 anaconda, 에디터는 vscode를 활용하였습니다!
Q 가상환경 만들기 전에! 왜 가상환경을 굳이 만들어야 할까요??
>> 별도의 작업 환경에서 작업하기 위함. 우리는 프로젝트를 하나만 하는게 아니라 여러가지 프로젝트를 만들고 수정하죠? 이때 이전 프로젝트에서 깔아놓은 패키지나 라이브러리와, 지금 작업 중인 프로젝트의 것들과 충돌이 일어날 수 있어요. (버전 충돌 등, project1에서는 3.7버전인데 project2에서는 3.5? => collision) 따라서 이런 문제를 방지하고자,
프로젝트마다 가상환경을 생성해서 패키지, 라이브러리를 깔아놓고 작업하면, 오류도 안나고 수월해요!!
1. 가상환경 생성
-->anaconda으로 가상환경 만들어주기!
(*anaconda 설치 필수! https://www.anaconda.com/products/individual )
Anaconda | Individual Edition
Anaconda's open-source Individual Edition is the easiest way to perform Python/R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on a single machine.
www.anaconda.com
vscode에서 작업하기 전에, 일단 가상환경을 체크해보고 없다면 생성해봅시다.
*anaconda prompt 열기 (cmd 창 아님)
(1) 가상 환경 리스트 보기
conda env list
-->가상 환경 없으면 생성해주기!
conda create -n 가상환경이름 python=버전
(2) 가상 환경 진입
conda activate 가상환경이름
(base) --> (가상환경이름) 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!
(3) 가상 환경에서 작업해보기
이외 명령어 모음
*가상환경 비활성화 conda deactivate 가상환경이름
*가상환경에 패키지 설치 conda install 패키지이름 ex) conda install pandas
*가상환경 리스트 확인 conda env list
*가상환경 삭제 conda env remove -n 가상환경이름
2. (1)에서 만든 가상환경에서 vscode로 작업
1에서 생성한 가상환경의 Interpreter를 선택해줍니다!!
이제 끝~
사실 anaconda 쓰지 않고도 가상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는데, 저는 이전에 anaconda를 사용할 일이 있어서 이미 만들어놓은 가상환경 쓰기로...! 이전에 작업하면서 여기다 웬만한 패키지는 다 깔아놓아서 편함
그럼 다음편에서는 vscode로 Jupyter Notebook 열고 여기서 코드 쓰는 방법을 알아보아요~